■ 출연 : 김영수 기자
* 아래 텍스트" />
■ 출연 : 김영수 기자
* 아래 텍스트"/>
■ 진행 : 안귀령 앵커
■ 출연 : 김영수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헝가리 유람선 참사 사고 사흘째. 국제부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영수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희가 뉴스 초반에도 전해 드렸는데요. 브리핑이 있었습니다. 수색 작업과 관련해서 브리핑이 있었는데 어느 내용이었는지 먼저 좀 정리를 해 주시죠.
[기자]
수색작업이 오전부터 활발히 펼쳐지고 있다. 수중수색은 중단됐지만 수상수색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수상수색은 하류 50km 밖까지 계속 진행중이다. 그리고 헬기를 이용해서 이미 수색작업이 진행되고 있고 그 헬기에 우리 구조대원도 탑승을 했다, 이렇게 지금 밝히고 있고요. 광범위한 수색작업이 펼쳐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우리 구조대원들도 포함이 됐고요. 다만 수중수색작업은 지금 난항을 겪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특히 예상보다 수심이 더 깊다고 합니다. 원래 6m 정도로 알려졌었는데 8.1m에서 최대 9.3m까지 수심이 깊더라. 이렇게 수심이 더 깊으니까 아무래도 유속이 더 빨라졌고 그리고 또 시야도 확보가 더욱 어려워져서 수중수색작업은 당분간 하지 않기로 이렇게 헝가리 측과 합의를 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는 월요일 오전 7시까지는 하지 않고 그 이후 다시 한 번 회의를 열어서 수중수색구조작업도 펼치기로 했습니다.
계속해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수중수색과 수상수색, 어떤 것인지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을 해 주실 수 있을까요?
[기자]
지금 유람선이 강 밑으로 가라앉아 있는 상황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선체 내부도 수색을 해야 되고요. 수중수색입니다. 수중수색이 들어가서 잠수부들이 주로 들어가서 혹시 선실 안에 있을 실종자들을 찾아내고 또 구해내는 그런 일을 해야 되는데. 지금 유속이 너무 빠르다 보니까 잠수사들이 들어갈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배에 분명히 유람선이 가라앉을 당시의 목격자들의 말에 따르면 선 내에 10여 명의 관광객들이 탑승하고 있었다고 했기 때문에 분명히 선실 안에 있을 것으로 추정이 되고 있거든요. 그래서 수중수색을 통해서 하루빨리 구해내자, 하루빨리 구조하자. 그래서 빨리 신속한 구조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을 했는데 현지 상황, 특히 강 밑 상황이 좋지가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19060120180471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