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메르스보다 더한 위기"…2차추경·재난소득 논의 본격화
[앵커]
11조7천억원 규모의 코로나19 추경안이 통과된 다음 날, 더불어민주당과 정부·청와대가 2차 추경 준비에 나섰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도입 가능성을 거론한 재난기본소득도 본격적으로 논의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박초롱 기자입니다.
[기자]
역대 네 번째 규모의 '슈퍼 추경'이 국회를 통과한 지 하루도 안 돼 여당과 정부, 청와대 회의에서 2차 추경 얘기가 나왔습니다.
"코로나19 상황이 급변했으나 추경에는 그것을 모두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신속히 추가대책에 돌입하고 2차 추경도 검토해야겠습니다."
한국경제가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에 메르스 사태를 더한 것 같은 타격을 입을 수 있기에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겁니다.
당장 문재인 대통령이 "추경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제2, 제3의 대책을 강조했습니다.
민주당은 재난기본소득 공론화에도 착수했습니다.
전 국민에게 일정액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은 김경수 경남지사, 이재명 경기지사가 잇달아 제안하며 관심사로 떠올랐지만 '총선용 현금살포 논란' 등으로 이번 추경에선 빠졌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17만 가구에 최대 50만원을 지급하는 재난긴급생활비 도입을 발표했는데, 각 지자체가 재난소득을 지급하면 정부가 2차 추경을 통해 지급액을 보전해줄 수 있다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지자체가 (재난소득을) 긴급히 지원하고 거기에 중앙정부의 보전이 필요하다면 추후에 추경 통해서 도와드릴 수 있는 것 아니냐…"
국회의원 세비 기부 아이디어까지 나왔습니다.
20대 국회의원의 남은 임기 석 달 간 세비 절반을 취약계층에 지원하자는 제안입니다.
특단의 경제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빗발치는 가운데, 2차 추경은 총선 이후인 5월쯤에나 가능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연합뉴스TV 박초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