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우리나라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을 앞서와 같이 3%로 그대로 예상했습니다.
최근 예상을 웃도는 수출 증가세에도 코로나19 3차 확산과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소비가 여전히 부진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이종수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을 3%로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한은은 올해 상품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7.1%로 제시해 기존 5.3%보다 1.8%p나 올려 잡았습니다.
그런데도 성장률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건 소비 부진을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한은은 민간소비 성장률을 기존 3.1%보다 1.1%p나 낮춰 2%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주열 / 한국은행 총재 :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조정됐고, 모든 것이 당초 예상보다 오래 지속된 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소비가 지난번에 저희가 봤던 것 보다는 더 부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은은 고용 전망을 어둡게 봤습니다.
지난해 11월에는 올해 취업자가 13만 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에는 증가 폭이 8만 명으로 줄었고
실업률 전망치는 3.8%에서 4.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지난해 7월 이후 동결 기조를 이어 가게 됐습니다.
비교적 안정된 금융시장과 과열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부동산과 주식 시장을 고려한 가운데 경기 회복 여부가 불투명한 만큼 현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종수[jslee@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10225231006244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