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이슈인사이드] 한은 기준금리 1%로 인상...美 연준 파월 2기 영향은 / YTN

2021-11-25 0 Dailymotion

■ 진행 : 강진원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오건영 / 신한은행 IPS그룹 부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한국은행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현재 0.75%인 기준금리를 1% 로 올렸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조기금리인상을 준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관련 내용 오건영 신한은행 IPS 부부장과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오 부장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사실 어떻게 보면 예상됐던 것 아닙니까?

[오건영]
그렇습니다. 이번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내용들에서도 많이 언급이 됐는데요. 첫 번째는 가계부채하고 자산가격 상승세 이게 일단 가장 큰 이슈인데 한국은행 목표 중에는 물가안정이 있습니다.

최근에 보시면 수입 물가를 중심으로 해서 물가급등세를 보였는데요. 연초부터 보시면 연초에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불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80불 가까이 되죠. 그리고 환율이 연초에는 한 1080원 정도 됐는데 지금 1190원 정도 됩니다.

그러면 사실상 환율하고 원유 사이드에서 이 에너지 가격 수입사에 대해서 상당한 물가 상승이 있었거든요. 이런 것들이 연관관계를 준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한국은행의 존립 근거 자체가 어떻게 보면 물가 안정이잖아요. 물가 안정 그러니까 돈의 가치를 지킨다는 건데 이렇게 물가가 많이 올라가니까 금리를 좀 올려서 우리나라 돈의 가치를 지키겠다, 이렇게 이해를 하면 되는 겁니까?

[오건영]
그렇습니다.


한국은행도 인상 전에 충분히 신호를 줬던 것 같기도 하고요.

[오건영]
실제로 지난 6월부터 보시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바가 있고요. 그리고 8, 9월달에 첫 번째 금리인상을 하면서 이번 금리인상으로 끝이 아니라 기준금리 인상하고 인상하고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하고는 다른 겁니다.

인상 사이클이라는 건 몇 차례 더 인상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은 거거든요. 이런 부분들을 좀 눈여겨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가장 간략하게 말씀해 주시기는 했지만 이렇게 기준금리의 전격적인 인상 배경 크게 가계부채, 부동산 가격 상승 그리고 어떻게 보면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좀 잡혀가면서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 이게 종합적인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11125114122168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