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중인 확진자가 몸에 이상이 생겼을 때는 의료상담센터에 연락해 상담받을 수 있는데요.
최근 재택치료자가 폭증하면서 업무 부담이 크게 늘어난 데다 담당 업무가 아닌 행정 관련 문의전화까지 쇄도해 눈코 뜰새 없이 바쁘다고 합니다.
자세한 분위기, 현장 나간 취재 기자 통해 들어보겠습니다. 김철희 기자!
[기자]
네, 서울 동부병원 의료상담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의료상담센터 현장도 바쁠 것 같은데 어떤 모습인가요?
[기자]
제가 나온 동부병원 의료상담센터는 24시간 운영되는데요.
아직 이른 시간이지만 상담센터로는 계속해서 전화가 걸려오고 있습니다.
현장을 지키는 10명의 간호사도 서울 각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느라 분주한 모습입니다.
이곳의 핵심 역할은 재택치료자의 의료상담입니다.
재택치료를 받는 동안 몸에 이상을 느끼고 전화한 이들에게 상담을 제공하고 있는 겁니다.
또, 상담센터 간호사들은 재택치료자의 몸 상태를 기록한 뒤 의사에게 보내고 있습니다.
만약 재택치료자가 의사 상담을 요청하면 유선 진료도 받을 수 있는데요.
이를 위해 병원에는 5명의 의사가 하루씩, 24시간 교대하며 근무하고 있습니다.
전화 상담과 진료 뒤에는 동네 약국에서 약을 받을 수 있는데요.
약국에서 제조한 약은 동거 가족이 대리 수령할 수도 있고요.
혼자 사는 경우라면 보건소에서 약을 받아 환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다만,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지자체가 지정한 별도의 담당 약국에서만 약을 짓고 전달할 수 있습니다.
현재 동부병원에 접수되는 비대면 진료 신청은 하루 350건 정도인데요.
의료상담센터에서 담당하지 않는 행정 문의가 많아 실제 걸려오는 전화는 하루 천여 건에 이릅니다.
상담센터 측은 격리 해제 문의나 생필품 구입 등 자가격리에 필요한 행정 절차에 대한 문의는 보건소로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현재 서울 시내에는 모두 3곳의 24시간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가 운영되고 있는데요.
제가 나와 있는 동부병원은 종로구와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와 노원구를 담당하고 있고요.
서울 양천구 서남병원은 양천구와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를 맡고 있습니... (중략)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21609240627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