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커뮤니티도 시끌…"" /> 온라인 커뮤니티도 시끌…""/>
Surprise Me!

"임금 인상 자제" 발언 후폭풍...월급 잡으면 물가 잡히나? / YTN

2022-07-01 45 Dailymotion

직장인들 반감…"월급쟁이한테 희생 전가"
온라인 커뮤니티도 시끌…"정부가 월급부터 잡아"
"대기업 임금 인상, 전체 노동자 급여 상승 견인"
"고물가 외부 요인…임금 인상 억제 영향 제한적"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대기업 노동자의 임금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한 발언을 두고 후폭풍이 거셉니다.

특히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직장인들의 반발이 큰데, 일부 기업의 임금 인상 자제가 물가 상승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윤해리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추경호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지난달 28일) :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감안해서 경영계에서는 과도한 임금인상을 자제해주시고….]

추 부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직장인들의 거센 반감을 불러왔습니다.

대기업들의 임금 인상이 가파른 물가 상승에 기름을 끼얹을 수 있다는 취지였지만, 가뜩이나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나오는 지금, 왜 '월급쟁이'들에게 희생을 전가하느냐는 볼멘소리가 나옵니다.

[익명 / 직장인 : 정부가 물가 오르는 걸 해결해야 하는데, 저희 월급이나 연봉으로 해결하려는 게 좀 아닌 거 같아요.]

[익명 / 직장인 : 왜 물가를 잡는다고 국민을 괴롭히느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직장인 월급부터 잡는다는 성토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입니다.

다만 실제로 일부 대기업의 임금 인상이 노동자 전체의 급여 상승을 불러와,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정환 /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대기업 노동자들 임금이 오르면 바로 밑에 기업들도 인플레이션 압력과 대기업 근로 조건에 따라 임금을 올릴 인센티브가 생기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을 심하게 할 수 있는 기재가 될 수 있습니다.]

앞서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올해 초 급격한 물가 상승과 사회적 격차 해소 등을 이유로 대기업에 임금을 최소한의 수준으로 인상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고물가 현상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같은 외부적인 원인이 큰 만큼, 임금 인상 억제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전망도 적지 않습니다.

임금 계약은 노사 간 자율성에 맡기는 게 좋다는 겁니다.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임금 인상이 물가 인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는 취지는 이해할 수 있지만, 임금 자체는 기업과 근로자 간에 자율적으로 ... (중략)

YTN 윤해리 (yunhr0925@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702053924558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