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개막을 3주 남기고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이 됐습니다.
캡틴 손흥민 선수가 수술대에 오르게 된 건데요.
대표팀 에이스의 월드컵 잔혹사, 그 한 페이지가 더 늘어날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집니다.
관련 내용을 YTN 디지털 콘텐츠 '한방이슈'를 통해 정리했습니다. 박광렬 기자입니다.
[기자]
11월 20일 개막하는 카타르 월드컵.
막판 담금질에 한창인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에 비보가 전해졌습니다.
챔피언스리그 마르세유와의 경기, 공중볼 경합 과정에서 상대와 충돌, 경기 중 교체된 손흥민,
팀의 역전승과 16강 진출 소식에 옅은 미소를 지어 보였지만,
다친 왼쪽 눈은 제대로 뜨기 어려울 만큼 부어 있었는데요.
경미한 부상이길 모두가 간절히 바랐지만, 토트넘 공식 홈페이지.
"손흥민이 왼쪽 눈 주변 골절상 안정시키기 위한 수술을 받는다"
대표팀 통산 104경기 출전, 35골.
역대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팀 최다 득점자.
하지만 이런 숫자만으로는 존재감 설명이 불가능한 '캡틴 손흥민'
실제 월드컵 직전 핵심 전력의 이탈이 팀 전체를 흔든 사례 종종 볼 수 있었죠.
대표적으로 2002년 월드컵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
팀의 알파이자 오메가.
지단의 부상이란 악재 속 조별 예선에서 쓸쓸히 짐을 싸야 했습니다.
우리 역시 비슷한 경험이 있죠.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당시 상대는 멕시코-네덜란드-벨기에.
그런데 다소 뜬금없었던 중국과의 마지막 평가전,
결국, 다치고만 핵심 공격수 황선홍.
대회 기간 공격수 득점 제로.
감독 중도 경질이라는 아픈 결과로 이어졌는데요.
"안와골절의 경우 수술부위 안정화에 최소 3~4주가 걸린다"
"어떤 경우든 4주 정도의 회복 기간은 필요로 한다"는 전문가들의 소견.
그런데 우루과이와의 첫 경기는 11월 24일.
20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죠.
물론 희망적인 사례가 없는 건 아닙니다.
첼시의 레전드 존 테리.
2007년 9월 광대뼈 함몰로 수술을 받았지만, 1주일 만에 복귀한 사례가 있죠.
안면보호 마스크의 힘을 빌렸는데요.
과거 2002년 월드컵, 당시 우리 대표팀 김태영 선수 역시 '마스크맨'의 기억이 있습니다.
이탈리아와의 16강 전에서 코뼈 부러졌지만
나흘 뒤 열린 스페인과의 경기에 마스크 쓰고 출전했던 건데요.
물론 어디까지나 일반적이라... (중략)
YTN 박광렬 (parkkr0824@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1103183748234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