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연 :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부 " /> ■ 출연 :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부 "/>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교수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올해 들어서 한국 코스피가 68% 이렇게 올랐고요. 일본 닛케이가 26.7%, 이쪽도 굉장히 많이 오른 건데 우리가 압도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장기 박스권에서 빠르게 벗어날 수 있었던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
◆이윤수> 일단 핵심은 돈이 굉장히 많이 풀렸다. 전 세계적으로 저희가 코로나 때 굉장히 돈이 많이 풀렸었지만 주가가 굉장히 많이 하락했던 시기를 생각을 해보면 이자율이 올라가고 유동성을 회복한다고 생각했던 시기가 2022년부터 24년 동안 있었습니다. 그런데 선진국의 긴축정책 이후에 최근 들어서 인플레이션이 안정이 되면서 이자율이 조금씩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시장이 안도감을 가지고 있고요. 그리고 이런 경기부양책 이외에도 LMN이 시작된 이후로 AI에 대한 소모가 늘어났죠. 그러니까 챗GPT 같은 것을 많이 쓰면서 AI가 우리 일상생활에 들어오고 활용하는 데 굉장히 빠르게 진전이 되겠구나라는 기대가 굉장히 많아졌는데요. 그런데 우리가 가진 가장 큰 기업들이 AI하고 굉장히 밀접한 연관이 있지 않습니까? 반도체와 관련돼서 AI가 처음 할 때만 해도 그래픽카드와 관련된 엔비디아 같은 반도체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을 했는데 실질적으로 그것 외에도 AI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서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산업도 같이 호황을 가지고 오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그래서 이런 시장의 기대가 굉장히 올라가면서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다라는 기대가 주가를 올렸고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까 유동성이 풀렸다는 말씀을 드렸는데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입된 측면도 큽니다. 4월 중순부터 우리 코스피가 올랐을 때는 대선 전까지 원화 가치가 한 9% 정도 두 달 동안 상승을 했는데 보통 원화 가격이 오른다고 생각을 하면 환에서 오는 수익이 있기 때문에 외국인 입장에서는 한국 주식 매수율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도 있었고 그리고 신 정부가 들어오면서 정책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이다라는 것 외에도 한국의 구조적인 문제로 여겨졌던 코리...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1028080447741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