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여진 앵커, 장원석 앵커
■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PLUS]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정부는 9.7 주택공급 대책 발표 이후연내 추가 공급 발표를 약속했는데불안한 집값 흐름 잡을 수 있을지석병훈 이대 경제학과 교수와 살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그러니까 10.15부동산 대책 이후인 11월 들어서 서울아파트 매매가가 5년 2개월 만에 최고 상승폭으로 상승을 했습니다. 10.15 부동산 대책이 전혀 효과가 없는 겁니까? 아니면 이 대책을 했기 때문에 그나마 이만큼만 오르고 만 겁니까?
[석병훈]
지금 상승률을 높고 보면 우리가 효과가 없고 시장을 왜곡시켰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지금 오히려 상승률이 5년 2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을 했을 뿐만 아니라 18개월 연속으로 계속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결국은 상승률만 줄은 줄 알았더니 오히려 상승률도 최대 폭으로 5년 2개월 만에 11월달에 전월 대비 상승률도 키웠고요. 그다음에 18개월 연속으로 오름세도 지속됐을 뿐만 아니라 서울의 전 지역도 다 상승을 했다는 것은 결국 효과가 없었다라고밖에 볼 수가 없고 오히려 시장을 왜곡시키는 그런 결과를 초래했다고밖에 볼 수가 있는데 문제는 원인은 그러면 무엇이냐를 봐야겠죠. 원인은 무엇이냐 하면 10.15 대책으로 인해서 매물도 줄고 거래량은 줄어든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서울의 집값이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는 여전하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집값 상승의 기대가 여전하다 보니까 줄어든 거래량 하에서 뭔가 신고가 거래들이 속출하면서 오히려 상승률은 5년 2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커졌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 서울 자치구를 살펴보면 동작구, 성동구, 광진구, 마포구 순으로 집값 오름폭이 컸거든요. 한강을 따라서 이렇게 오르는 거 어떻게 봐야 합니까?
[석병훈]
이것은 사실은 생각보다 한강 지역은 원래 한강벨트 지역은 집값이 상당히 높은 지역입니다. 그리고 10.15 대책의 핵심은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그래서 한강벨트 지역 같은 경우는 집값이 평균적으로 봤을 때 15억 원이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1124192421091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