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뉴스나우] 누리호 발사 성공...'달 착륙까지' 우주산업 과제는? / YTN

2025-11-27 5 Dailymotion

■ 진행 : 윤보리 앵커
■ 출연 :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누리호가 네 번째 발사에 성공하며 13개의 탑재위성도 지구 밖 제 궤도에 무사히 안착했습니다. 우주항공청은 1년에 한 번 이상 누리호를 발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히며,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대한 관심도 모아지고 있는데요. 과학 로켓 발사체부터 나로호, 누리호 발사체 개발단장까지. 한국의 모든 우주 발사체 개발에 참여하며 '발사체의 산증인'으로 불리는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과 함께 관련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십니까. 민간 기업이 제작을 주도한 누리호, 4차 발사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저도 오늘 새벽에 보면서 굉장히 벅차올랐는데. 지난 발사와 다른 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조광래]
지금 말씀하신 대로 지난번까지는 정부와 항공우주연구원의 역할이 매우 컸다고 하면 이번에는 참여 기업들의 역할이 많이 컸고, 특히 체계종합기업 이런 부분에서의 역할이 컸다. 우리 흔히 말하는 올드스페이스라는 곳에서 뉴스페이스로 옮겨가는 그런 전환점이 아니냐 이렇게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발사 비행시간이 3분 단축됐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비행 시간이 단축된 거면 성능이 향상됐다, 이렇게 볼 수 있는 건가요?

[조광래]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시 말씀드려서 인공위성을 궤도에 넣기 위해서 1단의 추력, 2단의 추력, 3단의 추력이 얼마만큼 필요하다는 게 나오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그게 정해진 시간에 그것을 우리가 얻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것보다 짧은 시간에 얻었으니까 성능이 좋아졌다고 그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당초 예측은 보수적으로 했나 보죠?

[조광래]
보통은 보수적으로 하죠. 왜냐하면 대기상태라든지 이런 것이 불확실한 부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누리호 4차에 탑재된 13기의 위성에 대한 관심도 높습니다. 이게 3차 발사 때보다 위성들이 많이 탑재가 된 거잖아요?

[조광래]
위성의 개수나 이런 것이 큰 이벤트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다고 말씀드리기는 그렇고요. 필요에 따라서 하는데. 지금 추세가 많은 분들이 위성을 올리고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5_20251127125112496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